안녕하세요! 주식쟁이 단타춘입니다.
지지, 저항의 내용은 한번 다룬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제가 쓴글을 보고 제대로 된 심화과정이 없는 듯하여 한번 포스팅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봉이란 모든 매매에 시작점이고, 기준이되는 캔들을 기준봉이라고 합니다.
예시로 가지고온 일봉 차트입니다.
여러분들은 기준봉을 잡을 때 어떤 기준봉을 삼으시나요?
저는 크게 갭상승이 나온 캔들이거나 장대양봉이 나온캔들로 기준봉을 볼 때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큰 갭상승이 나왔다는 것은 강한 힘으로 상승이 나온것이고 그만큼 상승이 나왔다는 이유가 되기 때문입니다.
모든 갭상승이라고 해서 기준봉을 삼는 것은 아니지만, 추가적으로 전 밑꼬리가 달리는 캔들이 나온다고 하면 조건부가 성립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기준봉으로 삼습니다.
장대양봉이 나온 캔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장대양봉이 나왔다라는 것은 압도적인 거래량으로 인해 상승이 나왔다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봉으로 삼습니다.
기준봉은 캔들을 크게 봐도 나오고, 작게 봐도 나올 수 있는 것이 기준봉입니다.
저는 기준봉을 통해서 손절라인과 지지저항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윗 차트를 예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초반 갭상승으로 시작을 했고 밑꼬리가 달리는 양봉캔들이 완성이 되는 캔들이 하나 나옵니다.(노란색 동그라미)
제 기준으로는 갭상승이 나왔고, 밑꼬리가 달리는 캔들이 나왔기 때문에 하락으로 전환되려는 움직임이 강한 힘으로 인해 상승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으로 판단이 되어 기준봉으로 삼았습니다.
이 기준봉을 기준으로 매매를 시작하는 겁니다.
(윗차트와 같은 차트입니다.)
이제 기준봉이 생겼고, 가상 매매를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 기준봉을 찾았으면 기준봉에서 매매를 진행을 하지 않습니다.
지지와 저항을 찾는 일을 먼저 하는데요, 특히 맘에 드는 종목을 찾았지만 기준봉이 첫 캔들(52주 신고가, 갭상승으로 인한 상승)이라고 하면 저는 매수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기준봉이 첫 캔들이라고 하면 몇 개의 캔들을 더 기다립니다.
상승이 나오면 어차피 매매를 안 했기 때문에 내 것이 아니다고 생각을 하시는 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저도 잘 못합니다 ㅎㅎ)
만약 몇 개의 캔들을 더 봤는데 기준봉을 이탈하여 하락하면 관심을 2순위로 두시고 지켜보셔야 합니다.
거기서 지지가 생겨 역으로 상승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상승이 나왔다고 하면 하락을 지켜보셔야 됩니다.
하락이 나오다 다시 장대양봉이 나오는 상황이 나오는데 그 상황을 저는 지지로보고 매매를 진행합니다.
제가 말한 기준에서 가장 베스트는 이렇게입니다.(초록색 동그라미)
1차적으로 상승이 나왔고 조정을 받는 구간에서 하락이 나왔지만 곧바로 장대양봉이 나와주면서 매수가 충분히 가능한 부분입니다.
제가 체크한 부분이 가장 이상적인 매매위치입니다.
하지만 제가 체크한 부분에서 한 가지 이상한 점이 보이시나요?
만약 지지선에서 매수를 했어도 어느 정도 상승은 나오지만 크게 상승하지 않는 부분이 보일 겁니다.
주황색으로 표시한 부분 이상으로 상승이 안 나오는 것이 보일 겁니다.
이 부분들을 보고 저항구간이라고 봅니다.
지속적으로 비슷한 구간에서 상승이 나오지 않고 밀리면서 하락이 나왔고 윗머리를 남기는 모습이 나옵니다.
이 구간에서 못 올리는 힘이 존재한다고 판단이 되는데,
1. 이 구간에 물려있는 사람들이 매도하는 힘
2. 세력들이 올리지 못하게 막는 힘
이 두 가지 힘이라고 저는 판단합니다.
이 구간만 뚫어준다고 하면 큰 상승이 나오는 겁니다.
이런 식으로 지지 저항선을 찾고 매매를 진행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손절에 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저항선(주황색)을 뚫는 장대양봉이 나왔지만 눌리는 모습이 보일 겁니다.
그 구간도 저항선에서 눌리는 힘인데, 여기서 만약 장대양봉을 기준봉으로 매매를 하고 싶다고 하면 장대양봉의 저가를 이탈을 하면 손절을 하시면 됩니다.
다른 지지선도 마찬가지입니다.
지지선을 이탈하는 움직임이 나오면 지지선을 기준을 잡은 캔들을 이탈하게 되면 손절을 하시면 됩니다.
이상 지지, 저항, 손절과 기준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지식 - 주식 조정이란? (2) | 2024.10.30 |
---|---|
개인,외국인,기관의 관계 (4) | 2024.10.16 |
주린이를 위한 눌림목 매매 알아보기 (4) | 2024.10.02 |
단타춘의 매매일지 (4) | 2024.10.01 |
주식투자 영상 녹화방법 꿀팁(Game bar) (15) | 2024.09.22 |